정부에서 청년들에게 힘을 실어주려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.
그 중에 하나가 청년도약계좌인데요.
이 글에서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가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보려 합니다.
청년희망적금은 2022년에 출시되었습니다.
사회 초년생 이나 저소득층 청년들이 자산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정부 지원형 적금 상품입니다.
청년도약계좌는 2023년에 출시되었습니다.
만19~34세 청년이 중장기 목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증식 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. 최대 월70만원 씩 5년간 납입하면, 만기시 5,000만원의 큰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공통점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큰 공통점은 두 상품 모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입니다. 비과세 혜택은 이자 수익에 세금을 물리지 않는 것인데요, 그렇기 때문에 돌려받는 금액에 보탬이 됩니다.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차이점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가입 대상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개인소득 3천6백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천6백만원 이하인 반면, 청년도약계좌는 기준을 완화해서 대상자가 더 많습니다. 그 밖에어도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기가 2년인 청년희망적음에 비해 만기가 5년으로 깁니다.
자세한 차이점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.
'정부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일배움카드 총정리 (1) | 2024.02.01 |
---|---|
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 총정리 (0) | 2024.01.28 |
2024년 달라지는 청년도약계좌 (2) | 2024.01.23 |
[2024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.]책자 발행 (0) | 2024.01.21 |
[충북] 청주시 2024년 저신용 소상공인 대출이자 지원공고 (0) | 2024.01.19 |